더키퍼-연세대, 기술 고도화 위해 산학협력 “AI기반 건물안전 인프라 구축 목표”

October 30, 2024
무인진압시스템 적용으로 차수벽이 전개된 모습. / 더키퍼

원문보기: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40920001137219

은평창업지원센터 북한산밸리(센터장 황보윤) 입주기업인 주식회사 더키퍼(The Keeper)는 연세대학교 산학연 기계공학과와 협력을 통해 자사의 기술과 품질을 한층 더 고도화할 계획이라고 20일 밝혔다.

더키퍼는 전기차 화재 예방 시스템을 비롯해 다양한 안전 솔루션을 개발하며, AI 기반 건물 내 안전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하는 선도 기업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번 협력은 더키퍼의 핵심 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한 전략적 결정으로, 연세대학교의 첨단 연구 역량을 더해 기술적 완성도를 높이는 데 주력할 예정이다. 특히 더키퍼는 전기차 화재 예방뿐만 아니라 AI를 활용한 화재 대피 솔루션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시민들이 화재 발생 시 빠르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할 계획이다.

김도영 더키퍼 대표는 "'언제나 고객이 답이다'라는 기업가 정신을 바탕으로, 고객 만족을 최우선으로 삼고 있다"며 "더키퍼는 전기차 화재 예방을 넘어, AI 기술을 통해 최적의 대피 경로와 방법을 제공하는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 연세대학교와의 협력은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또 "더키퍼는 고객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그들이 원하는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며 ”AI를 활용해 화재 발생 시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솔루션을 개발하여 시민들의 안전을 더욱 강화할 것"이라는 포부를 밝혔다.

더키퍼는 AI 기반 기술을 중심으로 건설사, 전기차 충전업체 등과 협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MOU를 체결해 나갈 계획이다. 이러한 협력을 통해 전기차 화재 등으로 인한 시민들의 불안을 해소하고, 재난을 대비하고 예방하는 기업으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더키퍼는 이번 산학 협력을 통해 기술력을 강화하고, 고객의 기대를 충족시키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내년에는 팁스(TIPS) 프로그램에 선정되어 AI 기반 화재 대피 솔루션을 더욱 고도화함으로써 시민 안전을 강화하고, 재난 대응 및 예방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는 기업으로 성장해 나갈 것이다.

박요돈 기자yodonpark@gmail.com

More Recent Stories

Blog Image
더키퍼, 롯데홈쇼핑 내 전기차 화재 예방 시스템 구축 계약 체결...본격 보급 확대

화재 안전 솔루션 전문기업 더키퍼(The Keeper)가 대기업 롯데홈쇼핑과 전기차 화재 예방 시스템 구축 계약을 체결하며 본격적인 보급 확대에 나섰다.

Blog Image
더키퍼, 전기차 화재 예방 시스템 시연회

전기차 등 배터리 화재 예방 솔루션 공급 업체 더키퍼는 14일 서울 영등포구 롯데홈쇼핑 본사 지하주차장에서 전기차 화재 예방 시스템 시연회를 개최했다.

Blog Image
아파트 전기차 화재, 무인진압시스템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더키퍼 하부 스프링클러 기술 관리소장 등 관심 이어져

Blog Image
더키퍼, 글로벌 시장 진출에에 박차...중국과 인도네시아에서 전기차 화재 예방 솔루션 선보다

재난 안전 솔루션 기업 더키퍼가 전기차 화재 예방 분야에서 글로벌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다. 더키퍼는 중국과 인도네시아를 중심으로 다양한 협력 활동을 통해 해외 시장에서 입지를 다지고 있다.

Blog Image
더키퍼, 경기아트센터에 '전기차 화재 예방방 시스템' 납품

더키퍼가 경기아트센터에 전기차 화재 예방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납품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공공시설 내 전기차 충전 구역의 안전성을 강화하고, 화재로 인한 재산 및 인명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다.

Blog Image
더키퍼, 한국건설안전박람회 참가…혁신적인 배터리 냉각 및 화재 예방 시스템 선봬

더키퍼가 한국건설안전박람회에서 전기차 화재 예방 물분사 시스템을 선보이며 주목받고, 2025년까지 5,000개소에 설치 목표를 세웠다.